개발자의 아틀리에
대기업 쇼핑몰 운영업무를 1년 1개월정도 하고 본사로 복귀했다. 어느날, 사장이 vue와 react로 된 프로젝트 1개씩을 가져왔다 문제는 이 회사에서 리액트를 할 줄 아는 사람이 없다는 거였다. 내가 vue를 할 줄 아니까 리액트도 같은 spa이므로 나보고 그냥 무작정 하라고 했다. 내 입장에선, 프론트 개발자로서 언젠가는 마주할 리액트를 이번 기회에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서 책과 인터넷 강의를 보면서 어떻게 프로젝트를 세팅해냈다. 정말정말 문제는 그 다음부터였다. 이 프로젝트는, 내가 다니는 죧죧소가 제2하청으로 들어가고 제1하청에서는 백엔드와 기획단을 맡았는데 그마저도 백엔드단은 인건비절감?을 위해 제1하청의 자회사에 소속된 외국인개발자들이 작업했고 당연히 소통도 잘 되지 않았다. spa를 쓰는 ..
올해 4월달에 이직하게 된 가산에 있는 웹 에이전시는 집에서 30~40분거리여서 정말 좋았다. 사무실 분위기도 좋아서 다른 곳에서 일하고 싶지는 않았다. 근데 여기에서 날 뽑은 이유는 강남에 파견보내려고 뽑은 것이었다. Vue때문에 뽑은 것인데, 대기업 쇼핑몰 모바일 웹/앱페이지가 vue로 리뉴얼 되어서 이제 그 구축팀은 빠지고 운영팀에 투입될 vue개발자가 필요해서 날 뽑았던 것이다. 처음엔 난 가고싶진 않았지만 본사 퍼블팀에서 내 앞에서 대놓고(내가 처음엔 스타트업에서 짤린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사람들 앞에서 제대로 말도 하지 못했다. 또 짤리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이 들어서) 제이쿼리하면 되는데 뭐하러 vue하냐는 식으로 계속 얘기하기도 했고 대표가 내게 직접 vue를 써야하는 이유에 대해 보고서를 만..
웹에이전시에 처음 들어갔을 땐 특히 퍼블리싱 팀에서 은근 미덥지 않은 반응이어서 약간 놀랐다 나는 어차피 내가 가진 vue라는 기술이 최신이고, 앞으로 유망한 것이니 대응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그냥 대응하지 않고 의중을 떠봤더니 지금까지 제이쿼리로 잘만 일하고 있었는데 뭐하러 vue를 쓰냐는 것이었다. 예전같았으면 들이받았겠지만 어렵게 이직했는데 그냥 듣고 넘겨버렸다 그런 헛소리에 대응할 필요가 없다. 아, 제이쿼리를 비하하는 게 절대 아니다. 나도 vue로 개발하면서 제이쿼리를 종종 쓴다. 문제는 난 아무 말도 안했는데 단지 생소하다는 이유로 내가 하는 기술을 그렇게 말해버리면 일단 기본 예의가 아니지 않은가? 아무튼.... 본사에서 2주동안 있다가 프론트엔드를 vue로 유지보수하는 곳에..